4차 산업 혁명의 시대에는 다른 것을 차단하고 하나의 디테일에 강한 인재들이 적당히 많은 시험들을 우수하게 치른 인재보다 더 '진정한 지능'으로 본다
모든 것을 다 잘하는 아이로 키우고자 하는 마음은 어느 부모든지 있을 것이다 나부터도 우리 아이가 운동도 잘하고 수학, 영어, 전과목 다 잘하는 아이로 자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아직까지는 모든 과목을 다 잘해야 좋은 성적을 내고 좋은 대학을 갈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더 많고 그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우리 아이가 자라서 직업을 갖고 일을 할 때에는 모든지 다 잘하는 인재가 아닌 하나의 일에 집중하는 인재가 더 필요해질거라고 하니 나의 생각도 많이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위 표와 같이 타자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내는 나이는 각기 다르다 우리는 무엇을 시작하고자 할때 벌써 늦은 거 아닌가 하는 불안함이 있다 하지만 자신의 인생 중 최고의 성적을 내는 시기는 아직 오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나도 모르는 나의 인생의 최고 성적을 위해 오늘도 내일도 도전해보자 지금 나도 무엇을 시작하기엔 늦은 나이가 아닌가 하는 불안함이 있지만 이제 뭐든 도전해보려고 한다 나의 인생 최고 성적은 언제인지 알 수 없으니깐
제한된 집중이란? 세계 역대 수학자와 수학계의 노벨상인 필즈상의 공통점은 모두 남성이라는 점이다 오로지 다른 아무 기준 없이 수학 분야의 업적만으로 평가되는 이 경우에 남성이라면 성별만 자리 잡고 있다 여성을 수학을 못한다는 환경의 신호 때문이다 이것이 제한된 집중이다 열등감은 누구에게는 우월감의 재료가 된다 '못한다'는 신호 속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 열등감과 싸우느라 상당한 정신 자원을 낭비한다
노력은 무엇이 부족한지 알때라야 의미 있는 노력이 된다 겉으로 드러나는 아이의 재능은 평가할 수 있지만 재능을 뛰어넘으려는 아이의 의지는 측정할 수가 없다
'마음속에 가장 소중한 것이 없다면 평범한 신호가 우리를 평범하게 만들고 앞으로도 평범하게 만들어 나갈 것이다'
'우리가 1만 분의 1로 합격장과 모든 우월한 신호를 소수에게 밀어줄 때 정작 우리는 우리의 빛을 꺼두고 어둡게 만들어서 그들의 빛을 더 밝게 빛나게 한다'
'평범한 재능을 최고로 지휘하는 법은 가장 강한 차단과 가장 강한 내면 속의 신호를 찾는 것이다'
타고난 재능이나 좋은 조건만이 있어야 빛날 수 있는 건 아니다 사회가 그들만의 재능으로 세상을 밝히려 할 때 우리는 그 신호를 차단하고 우리만의 블랙다이아몬드를 찾아야 한다 블랙다이아몬드를 가지고 사회적 신호를 차단할 때 노력 이상의 순간을 완성하게 된다
'천재란 없습니다 만일 세계가 가치 있다고 주목하는 어떤 결과물을 누군가가 만들어냈다면 그것은 순전히 실용적인 목표 하나만을 끈질기게 추구한 노력에 의한 것이다'
십 년간 매달려 최초로 증기 기관을 만든 공장 노동자, 탄광촌 출신에서 오늘날 산업혁명을 이끈 '철도의 아버지'로 불리게 된 조지 스티븐슨이 그 예이다 전 세계의 가장 성적이 높은 엘리트들이 가는 그랑제콜 출신들이 만든 도로보다 세계에서 가장 단단한 도로를 만든 사람은 4만 8천 킬로미터 달려 자유롭게 매달리고 싶은 주제를 끈질기게 추구하면 노력한 매커덤이었습니다 그랑제콜 출신들은 15~20센티의 돌을 체계적으로 쌓으면 단단한 도로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으나 단단한 도로를 만들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직접 체험하고 오로지 그 일에만 집중한 메커덤은 2.5센티미터의 돌 크기를 발견하고 그것은 오늘날에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진리의 추구는 무명과 권위를 구분하지 않는다
무명의 교사 그로테펜트는 고대 언어학자도 해석하지 못한 쐐기문자를 최초로 해석한다 이 혁신적인 것은 '깊은 이해'의 힘이다 하지만 모두 권위 없는 무명 교사의 발견을 무시했습니다 그가 사후에 모든 업적을 알리게 되었지만 진리의 추구는 무명과 권위를 구분하지 않았습니다
'간격 효과' 가장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기간의 노력보다 노력의 정도가 같더라도 얼마나 장기간 그 분야에 몸 담았는가가 더 중요하다
어느 한 사람의 심도 있는 끈질긴 노력을 수년 동안 계속한다면 높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요나 콤플렉스란? 스스로 평범하다고 생각하고 나를 위한 꿈을 꾸지 않는 모습이다
'우리가 느끼는 가장 깊은 두려움은 우리가 불충분하다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가장 깊은 두려움은 우리가 상상을 초월할 만큼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우리의 어둠이 아닌 우리의 빛이 우리를 두렵게 한다'
'내가 뛰어나고 멋지고 재능 있고 굉장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나는 다시 묻고 싶다 사실 당신이 안 될 것은 무엇인가? 스스로 움츠러들어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당신 주변에서 불안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은 정작 아무런 빛을 비출수 없다 오히려 우리가 우리의 빛을 비출 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똑같이 할 수 있다는 승인을 해주는 것이다' 다른 소수의 주위만 빛나게 할게 아니라 나 자신을 더 빛나게 할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하자
'학생들이 개인적인 공부에서 자기 초월적인 why를 가질 때 지루하고 불편한 문제를 푸는 how를 견대냈다' 누가 시켜서 하는 공부가 아닌 자신의 궁금증의 해결을 위해 하는 공부야 말로 진정한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고 그런 공부를 하면 전혀 지루할 틈이 없다
'노력과 재능을 아무리 더해도 한번 부정적인 신호에 전염되면 그 신호는 학생의 노력과 재능을 회복 불가능한 수준으로 눌러버린다' 나도 모르게 하게 되는 내 아이의 자존감과 능력을 무시하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겉으로 볼 때 별거 아닌 일이라도 아이의 노력과 재능을 칭찬하고 격려해줌으로써 더 크게 자랄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인생을 끝났다는 생각으로 자살을 하려던 저자는 순간 자신의 괴롭히던 모든 것이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깨닫는다 지은이는 한 음악평론가의 작은 칭찬 한마디의 신호를 받아 난독증도 치료하고 책을 써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다 하나의 작은 신호가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꿀 수도 있다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단 (1)-롭무어 (0) | 2019.07.10 |
---|---|
에어비앤비 스토리 <레이 갤러거> (0) | 2019.07.07 |
초예측 세계 석학8인에게 미래를 묻다 (0) | 2019.07.05 |
자녀교육서 <미래를 읽는 부모는 아이를 창업가로 키운다> 이민정 (0) | 2019.06.21 |
책리뷰 나는 아마존에서 미래를 다녔다 (0) | 2019.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