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 대신 꼬박 꼬박 월급을 가져오는 시스템 만들기 ' 나는 부동산과 맞벌이한다'라는 제목만 봐도 나의 관심을 확 끌게했다 아직은 종잣돈을 열심히 모야되는 초보중에 초보인 단계이지만 이 기간동안도 나의 미래를 위해 조금씩 준비해 나갈것이다 저자는 평범한 직장인으로 지내며 월급만으로는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없다는것을 깨닫고 종잣돈을 열심히 모아 지금은 41채의 부동산을 가지며 노후에 걱정없이 직장생활을 할수있게 되었다
가장 위험한 투자는 리스크를 전혀 감수하지 않으려는 투자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원금만 지키려고 하는 방식은 결코 실패한 투자가 될 수밖에 없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원금이 계속해서 줄어들기 때문이다 - 50페이지
인간은 누구나 자기가 처한 위치에서 모든 것을 판단하게 마련이다 같은 기사라도 만약 자신이 집주인이라면 전세금이 오른다는 소식이 반가울 것이고 , 임차인이라면 이런 상황이 암담할 것이다 - 51페이지
무피 투자는 '준무피투자'와 '실무피투자'로 나눌 수 있다 준무피투자는 보증금과 대출을 이용해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으로, 보증금과 대출을 더했을 경우 투자금이 거의 들지 않는 투자다 실무피투자는 대출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낙찰을 통해 부동산으로 매입하는 것으로 보증금으로 투자금을 전액 회수하기에 오히려 돈이 남는 투자다 통상적으로는 준무피투자는 일반적인 부동산 매매를 통해 실현 가능하지만, 실무피투자는 부동산 경매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 65페이지
월급쟁이로서 소득을 크게 늘리는 것이 불가능했던 내가 선택한 방법은 지출을 줄이는 것이었다 - 74페이지
나는 한번 매입한 부동산은 잘 팔지 않는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월급을 통해 생활비가 마련되고 월세를 통해 투자금이 생기며 전세 상승으로 인해 추가 투자금까지 생기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76페이지
부동산 매입에 가장 좋은 시기는 1년에 딱 두번이다 여름철 가장 무더울때와 장마철 , 그리고 겨울 크리스마스 때부터 음력 설전까지다 이때 부동산을 매입하면 가장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 - 81페이지
월세 500만원을 가져오는 수익형 부동산을 만들고 싶다면 첫째 '낙찰가=대출금액+보증금'으로 내돈이 거의 들이지 않아야 한다 둘째 월세로 들어오는 돈이 대출이자를 훨씬 상회해야 한다 셋째 지속적으로 보유 물건을 늘려야 한다 - 102페이지
늘 투자의 룰을 모르는 사람들은 남들의 실패를 비웃으며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신의 선택이 현명하다고 자랑한다 비판하는 건 쉽다 하지만 그들이 비판할 때 어느 누군가는 땀을 흘리며, 자신이 원하는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모두에게 똑같은 시간이 주어지지만 그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 107페이지
부동산 투자를 막 시작한 사람들은 내게 가장 많이 묻는 것은 '얼마의 종잣돈을 마련해 어디에 투자해야 하는가'였다 그때마다 나는 첫 투자라면 3000만원 이내에서 할 수 있는 투자 물건을 찾아서 시각하라고 권한다 사실 이는 부동산 부자들이 종잣돈을 불린 오래된 방식이다 그들은 투자금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거둘수 있는 부동산에 투자하는 방식을 고집햅다 - 124페이지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은 일상의 노예가 아니라 주도적으로 자신의 인생을 경영하며 보람차고 값진 삶을 살아갈 가능성이 크다 -129페이지
나이가 들수록 본인의 근로소득보다는 시스템으로 돈을 버는 소득을 늘려야 한다 창업을 통해 프랜차이즈 같은 시스템을 만들 것이 아니라면, 급여의 일부 또는 퇴직금의 일부를 계속해서 월소득이 창출되는 시스템을 만드는데 집중시켜야 한다 매월 똑같이 300만원을 번다고 해도, 자영업자가 버는 300만원과 자영업자를 임차인으로둔 임대인이 버는 300만원은 질적으로 다르다는 걸 기억하라 - 139페이지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 아빠 기요사키가 말하는 부자들의 음모 (0) | 2019.12.01 |
---|---|
월급쟁이부자는 없다 <유비(김수영)> (0) | 2019.11.19 |
우리는 부동산으로 월급받는다 <김수영> (0) | 2019.11.15 |
생각의 비밀 <김승호> (0) | 2019.11.14 |
흔들리지 않는 돈의 법칙 <토니로빈스> (0) | 2019.11.11 |
댓글